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2024년 1월 27일부터 서울에서 시범 운영 중인 기후동행카드!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셨지요? 도대체 이것이 무엇이고 어떤 장점이 있고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이번 시간에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우선 기후동행카드가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서울 지역의 대중교통(지하철, 버스)와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데, 정확하게 어떤 사업이길래 이렇게 난리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가격
월 6만원대로 서울 지하철과 심야버스를 포함한 서울 시내, 마을버스 그리고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정기권 교통가드인데요. 여기서 중요한 게 바로 가격이겠지요?
- 한 달 정기권(서울 지하철, 버스) : 62,000원
- 한 달 정기권(서울 지하철, 버스, 따릉이) : 65,000원
- 실물카드(별도) : 3,000
사용기간 만료 전, 즉 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사용잔액 환불을 원할 경우, 환불이 가능한데요. 환불액은 카드 충전금에서 대중교통 실 사용액과 수수료 500원을 제하고 환불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이용범위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서 시내, 마을버스 그리고 따릉이인데요. 하나씩 설명해 볼게요.
- 지하철 : 서울권역 내 1~9호선, 경의 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공항철도선 2,6,8,9호선과 우이신설선, 신림선은 전 구간 이용 가능, 신분당선 제외
- 서울 내 지하철 역에서 승차 후 서울 외에서 하차할 경우 역무원에 의해 별도 요금 징수됨
- 서울시 면허 시내 마을버스 (심야버스 포함) : 경기나 인천과 같은 서울 이외의 지역버스나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제외, 서울 02, 서울 04, 서울 05 동행버스 포함
- 따릉이 (포함 정기권 구매시) : 1시간 이용권\ 무제한 이용 가능
- 한강리버버스 (예정)
더 자세히 알아보시려면 아래 바로가기에서 확인가능하시니 참고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서비스이용범위 검색 바로가기
news.seoul.go.kr


기후동행카드 구매 신청 방법
기후동행카드는 크게 2가지로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 두 가지입니다. 이제 어떻게 구매하고 어떻게 신청하면 되는지 알아볼게요.
모바일 카드 신청 발급
OS 12 이상의 안드로이드 폰을 사용한다면, NFC 방식을 활용한 모바일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데요. 모바일 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여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을 진행하면 되는 데, 결제는 현재 계좌이체로만 가능하며 향후 체크카드, 신용카드로 확대 추진예정이라고 합니다.
실물 카드 신청 발급
서울교통공사(1~8호선) 고객 안전실이나 역사 인근 편의점을 방문하시면 되는 데요. 3,000원의 실물 카드 비용이 든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이때 카드 뒷면 QR코드를 통해 티머니 카드 홈페이지에 등록 후 지하철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요. 충전할 때 시작일자를 지정하면, 시작일로부터 30일간 사용이 가능하고, 시작일자는 충전일을 포함하여 5일 이내에 지정하여야 된다고 합니다.
현재 편의점에 기후동행카드 물량이 부족해 어떤 곳을 방문하더라도 구매가 힘들다고 하니, 아래 실물카드 판매처 현황을 꼭 참고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처 바로가기
news.seoul.go.kr


기후동행카드 경기도 사용방법
기후동행카드 사업이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라 이용범위가 서울시인데요. 경기도에서 운행 중인 버스들을 보면 앞유리에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하다고 붙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 이용가능한 건 지 궁금하실 텐데요.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에서 버스는 가능한가?
우선 서울시 면허를 가진 초록색, 파란색 버스라면 서울시 지역을 경유해 경기도로 운행하는 경우 서울시가 아닌 지역에서 카드를 이용해 승하차가 가능해요. 다만, 서울시에서 탑승하고 경기나 인천지역에 하차하면서 생기는 추가요금은 따로 지불해야 한답니다.
빨간색 광역버스인 경우 서울시 내에서도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하고, 경기도에서 역시 사용이 불가능해요.
경기도에서 지하철은 가능한가?
지하철은 버스와 다르게 서울시 구간에 위치한 1~9호선 그리고 특정역에서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신분당선의 경우 서울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이렇게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알아보았는 데요. 경기도에서도 일부 구간 사용이 가능하고 4월부터 김포와 인천도 함께 추진 예정이라고 하니 한 달 교통비가 6만 원 이상이라면 메리트가 있는 것 같습니다. 팍팍한 경제에 교통비라도 아껴보아요.